2025년 08월 23일 (토)
그렇기 때문에 이 질문에 대답하기가 그리 간단하지 않습니다. 학력저하 현상에 대한 우려를 한마디로 압축하면 “요즘 애들 공부 안 한다”는 탄식입니다. 기실 ‘요즘 애들’에 대한 염려는 고대 이집트 시대에서부터 있었던 걱정입니다. 저는 그런 걱정 어린 말들을 하시는 분들의 진의부터 확인하고 싶어요
2019-01-28 20:39:48
학교는 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하고 수렴하는 곳이, 학부모들의 일반의지를 고려하고 감안하는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아이들 일류대학 합격시키는 교육에만 매진하라는 학부모들의 요구에 수동적으로 고분고분 순응하는 데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2019-01-26 17:25:14
교사들은 상위 10프로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9할을 만나고 상대하는 사람들입니다. 이 교사들의 경험은 등한시하고 의견은 외면하면서, 상위 10프로와만 주로 접촉하고 교류했던 집단의 견해에는 왜 귀를 기울입니까?
2019-01-25 18:58:42
제가 시골 학교에서 경험해보니까 제가 가르치는 제자들이 입시에 성공하는 방법은 학종 전형이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학종 찬성론자가 되었습니다. 여기에 큰 문제나 하자 있나요?
2019-01-23 18:39:56
사교육을 금지하는 과제는 이미 불가능한 목표로 판명되었습니다. 사교육 금지법안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판결을 받은 사건이 이러한 현실을 실체적으로 웅변합니다. 이런 형편과 바탕 위에서 수능 점수만 갖고 입시를 치르면 가난한 집 아이들이 부잣집 애들을 무슨 수로 당해내겠습니까?
2019-01-22 18:28:32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