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벤처기업의 시가총액이 172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코스닥 전체 시장 절반에 육박하는 규모다.
24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중소·벤처기업의 기업가치 현황을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 5920개사 중 기업가치 파악이 어려운 기업을 제외한 4521개 벤처기업을 조사한 결과 국내 벤처투자기업 4521개사의 기업가치는 172조 8547억원이다.
이는 코스닥 전체 시가총액 385조 5826억원의 44.8%에 해당한다. 코스피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 시가총액 483조 5524억원 다음으로 높으며 코스닥 시가총액 1위인 셀트리온헬스케어 시가총액 24조 7450억원의 7배 수준이다.
벤처투자기업 기업가치 비교 (자료=중소벤처기업부)
통계에 따르면 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 기업도 크게 늘고 있다. 1000억원 이상 기업은 2015년 51개사에서 지난해 320개사로 약 6.3배나 증가했다.
특히 2020년 새롭게 추가된 85개사 중 60개사는 후속투자를 받은 경우이며 나머지 25개사는 첫 투자부터 기업가치를 1000억원 이상으로 평가받았다.
벤처기업이 주목받으며 기업가치도 오르고 있다. 지난해 투자받은 기업의 평균 기업가치는 422억원으로 전년도 361억원보다 16.9% 증가했다.
또한 작년 벤처투자기업의 투자금액 대비 기업가치의 배수가 20.8배로 2019년 12.8배보다 62.5% 높았다.
업종별 평균 기업가치는 게임이 826억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바이오·의료 639억원, 유통·서비스 376억원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소재 기업의 평균 기업가치가 483억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울산소재 기업 480억원, 충북소재 기업 46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울산과 충북소재 기업이 평균 기업가치 뿐만 아니라 투자금액 대비 기업가치 배수도 높아 수도권과 큰 차이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 320개 기업은 서울이 162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 83개사 대전 25개사 등으로 나타났다.
권칠승 중기부 권칠승 장관은 “올해 중기부는 창업붐과 투자붐, 수출붐을 일으켜 혁신 벤처·스타트업이 선도형 경제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아울러 “창업·벤처기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회복과 재도약의 견인차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덕성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