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18일 경기 성남의 AI캠퍼스에서 '원 카카오 서밋'을 열고, AI 시대의 명확한 성장 전략 방향을 제시하며 혁신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그룹 차원의 실행 의지를 밝혔다.
카카오는 18일 성남시 AI캠퍼스에서 주요 계열사 CEO와 임원 1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 카카오 서밋(One Kakao Summit)'을 개최했다.
카카오그룹이 모바일 혁명을 넘어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새로운 도약을 선언했다.
카카오는 19일, 전날인 18일 성남시 AI캠퍼스에서 주요 계열사 CEO와 임원 1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 카카오 서밋(One Kakao Summit)'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행사는 창립 15년을 맞아 'End to And – 새로운 15년, 다시 시작점에 서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AI 시대의 전략과 향후 사업 방향을 점검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정신아 카카오 이사회 의장은 행사에서 "모바일 시대가 끝나고 본격적으로 열린 AI 시대는 놓칠 수 없는 혁신의 기회, 즉 '이노베이션 윈도우'"라며 "카카오가 15년 전 모바일 혁명을 이끌었던 것처럼, 이제는 AI 혁명을 통해 새로운 미래의 문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의장은 AI 경쟁 시대를 돌파하기 위한 카카오의 3대 전략으로 ▲자체 개발한 '카나나'부터 GPT까지 다양한 AI 언어모델의 활용 ▲AI 기술 대중화 전략 ▲글로벌 시장에서 명확한 시장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 경쟁자들과 맞서는 생존 전략 등을 제시했다.
특히 정 의장은 "제한된 자원으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경쟁하는 상황에서 '일단 해 보자'는 접근은 위험하다"면서 "높은 시장 이해도를 바탕으로 명확한 전략 방향을 설정하고, 효율적이면서 속도감 있게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선 그룹 내 주요 기업들의 성과와 전략도 공유됐다.
카카오픽코마 김재용 대표는 “픽코마는 게임영역을 제외하면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큰 매출을 내는 앱”이라며 “세계 최대 규모인 일본 만화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여 고객 니즈에 맞는 디지털 플랫폼을 적기에 제공한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카카오뱅크 윤호영 대표는 AI와 금융의 결합을, 카카오모빌리티 류긍선 대표는 상생과 동반성장의 기조에서 진행 중인 신사업 방향성을 공유했다. CA협의체 황태선 총괄대표의 카카오 15년 여정 회고, 카카오 홍민택 최고제품책임자(CPO)의 카카오톡 성장 전략 발표도 진행됐다.
성창하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