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과 0.4’… 유상급식이 끌어올린 소비자물가

이승민 기자

등록 2015-05-01 13:38

경남지역 초··고교 무상급식 학부모의 부담만 늘린 것이 아니라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끼쳤다.


경남지역 초··고교 무상급식이 4월부터 유상으로 전환되면서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학교급식비는 전년동월대비 10.7% 오르며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달 학교급식비의 물가 기여도는 0.05%p.

 

 



통계청 관계자는 "학교급식비의 경우 경남지역이 무상급식을 하다가 유상으로 전환되면서 상승했다""전년동기대비로 학교급식비의 물가기여도는 0.05%p"라고 설명했다.



학교급식비 상승률이 4월 물가를 0.05%p 끌어올렸다는 얘기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비 0.39% 상승했다. 통상 소비자물가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현한다. 때문에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보다 0.4% 상승한 것으로 표현됐다.



만약 학교급식비 상승이 없었다면 물가가 0.39%에서 0.05%p(학교급식비 기여도)를 뺀 0.34% 상승한 것이 된다.



이럴 경우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대비 0.3% 상승한 것으로 표현됐을 것이다. 0.3%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역대 최저치다. 물가상승률은 199970.3% 상승률이 가장 낮다.위 관계자는 "3월에는 다른 지역의 급식비 상승이 물가지수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4월발생한 경남지역 학교급식비의 물가기여도를 따지려면 전월대비 봐야한다"고 전제한뒤 "그 경우 경남의 4월 소비자물가 기여도는 0.02%p정도 된다"고 설명했다.



학교급식비 상승이 0.05%p만큼 물가를 떠 받쳤는데 이 가운데 경남지역 무상급식 폐지가 0.02%p 정도를 물가를 끌어올렸다는 의미다.



결국 홍준표 경남지사가 무상급식제도에 변화를 주면서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지난달 역대 최저치의 물가상승률을 방어하는데 크게 기여한 셈이 됐다.
이승민

이승민

기자

헤드라인 뉴스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