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주말농장 통해 도시농업 활성화 시킨다

이승민 기자

등록 2015-03-31 16:32


▲ 서울 금천구 시흥동 벽산2단지아파트 관리동 옥상에서 아파트 부녀회원들이 배추에 물을 주고 있다


정부가 2024년까지 공영주말농장 100개소를 조성해 도시 농업을 활성화 하기로 했다. 또 텃밭을 가꾸면서 휴식을 겸할 수 있는 도시농업공원 50개소로 만든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도시농업 활성화방안'을 마련하고 4월을 '도시농업 붐 조성의 달'로 정해 다양한 행사를 추진하기로 했다.

 

도시농업은 도시 지역 내에서 토지, 건축물 등 생활공간을 활용해 취미, 여가, 학습의 목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뜻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도시농업 참여자수는 201015만명에서 지난해 108만명을 넘었으며, 도시텃밭 면적도 지난해 668로 같은 기간 동안 6.4배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숨쉬는 녹색도시 조성과 귀농, 귀촌의 선행학습의 장으로 도시농업을 활용하기 위해 활성화방안을 마련했다.

 

먼저 도시농업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공영주말농장과 학교텃밭, 도시농업공원 조성에 나선다. 공영주말농장은 9.9를 임대받는데 연간 이용료가 6만원으로 민간시설보다 절반 가량 저렴하다. 201511개소를 조성하고, 202070, 2024100개로 늘릴 계획이다. 3500개소에 이르는 학교텃밭은 2013년까지 1만개로 늘리고, 도시농업공원은 2024년까지 50개소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현재 668에 이르는 텃밭공간을 2024년에는 3000까지 늘리고, 도시농업 참여자를 지난해 108만명에서 2024년에는 480만명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도시농업의 기초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도시농업 지원센터를 2024년까지 100개소 확충하고 개소당 연간 500여명의 교육을 담당하도록 한다.

 

도시농업 전문인력 양성기관은 2024년까지 50개소로 확충하고 개소당 연간 100여명의 인력양성을 담당하도록 할 계획이다. 4월중 흙이 연상되는 11일을 '도시농업의 날'로 정해 매년 다양한 행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이승민

이승민

기자

헤드라인 뉴스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