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3일 (일)
안녕하세요 공희준 기자입니다
청년들에게 “당신들도 어른 아니냐?”고 윽박지르기에 앞서서 우리나라의 사회생태계에 대한 천착과 분석, 고민과 성찰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현재의 한국사회는 원천적으로 도전을 불허하는, 불가능하게 만드는 사회입니다. 무엇보다도 도전에 실패했을 경우 그 다음에 아무런 대책이 없습니다.
2018-12-04 17:06:31
교통방송을 앞세운 박원순 서울시장의 대선 행보가 그래서 성공적이었느냐? 단언하건대 실패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형 핵발전소 수출의 꿈을 실현하고자 영부인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체코공화국의 수도 프라하에서 고군분투하는 바로 그날, 교통방송에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뉴스를 시끌벅적하게 보도했으니 청와대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을 어떻게 호
2018-11-29 15:08:25
4차 산업혁명은 지금 우리가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문제입니다. 우리가 당장 고민해야 할 숙제는 따로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년들의 창의와 열정을 짓누르고 질식시키는 낡은 제도와 관행과 의식을 어떻게 하면 빨리 혁파할지 하는 것입니다. 먼 미래의 4차 산업혁명이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2018-11-26 18:18:16
대기업에서 목격되는 것과 같은 노사 간의 이런 엄청난 힘의 불균형을 우리나라의 노사관계법이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거기에 더해 확대재생산까지 해오고 있습니다. 노동관계법이 원청업체인 대기업 노조들이 협력업체나 하청업체의 소규모 노조들과 연대할 필요가 없도록 부추기는 것이죠.
2018-11-23 18:33:23
김병준 위원장은 저에게 타산지석의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제가 사람과 현실 앞에서 좀 더 겸허한 자세와 겸손한 태도를 갖도록 이끌어주는 반면교사 역할도 결과적으로 하고 있고요. 그럼에도 저는 평론가로서의 김병준이 내놓은 글들은 언제 봐도 참으로 빼어난 시사점과 통찰력을 담고 있다는 데에는 추호의 의심이 없습니다.
2018-11-22 18:20:04
김대호 사회디자인연구소 소장을 오래전부터 알아온 사람들에게는 그가 친노에서 출발해 반문으로 간 일 못잖게, 대북 강경론자가 된 일 또한 이해하기 어려운 수수께끼가 되어 있다. 한국사회에서 남북관계는 확증편향 현상이 제일 강력하게 맹위를 떨치는 분야이다. 봤기 때문에 믿는 것이 아니라, 믿기 때문에 보는...
2018-11-21 19:15:02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