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일자리수 느는데 청년층 일자리는 줄어

김치원 기자

등록 2021-05-28 09:28

지난해 4분기 전체 일자리는 크게 늘면서 50여만개 증가한 반면, 30대 이하 청년층의 일자리는 9만여개가 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1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는 1958만9000개로 전년동기대비 50만3000개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 임금근로자 수가 39만2000개(15.7%) 늘었다.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다.

50대는 15만6000개(3.7%), 40대는 4만6000개(1.0%) 각각 늘었다.

반면 청년층인 30대 이하에서는 9만 개 넘게 사라졌다. 30대 임금근로 일자리는 1년 전보다 6만8000개(-1.5%) 감소했는데, 다섯 분기 연속 감소다.

20대 이하는 2만3000개(-0.7%) 감소했고, 네 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성 일자리(1127만5000개)가 15만7000개, 여성 일자리(831만5000개)가 34만6000개 각각 늘었다.

전체 일자리 대비 성별 비중은 남성이 57.6%, 여성이 42.4%를 차지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1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는 1958만9000개로 전년동기대비 50만3000개 증가했다.(자료=통계청)

산업별로 보면 일자리 비중이 21.2%로 가장 큰 제조업에서 전년 동기 대비 6만6000개의 일자리가 줄었다. 기계장비(-9000개), 금속가공(-8000개), 기타 운송장비(-8000개) 등이 감소한 영향이다.

제조업 일자리는 생산 부진 영향으로 2019년 4분기부터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는데, 작년 2분기(-6만5000개), 3분기(-8만7000개)에 이어 높은 감소 폭이 유지되고 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숙박·음식(-5만1000개), 예술·스포츠·여가(-5000개), 운수·창고(-3000개) 등에서도 일자리가 줄었다.

반면 공공행정일자리는 24만5000개 증가했다.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증가 폭이다.

보건·사회복지(+15만8000개), 전문·과학·기술(+6만9000개), 교육(+3만7000개) 등에서도 늘었다.

김치원

김치원

기자

헤드라인 뉴스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