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 오른 분양가 ‘상한제 폐지 올해는…’

이승민 기자

등록 2015-04-16 10:05

최근 아파트 청약시장이 상승세를 타면서 건설업계가 신규 공급 물량을 대폭 늘리는 동시에 분양가도 꾸준히 올리고 있다. 지난해 서울 지역 아파트 분양가는 전년 대비 12% 넘게 상승해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1% 오른 것과 비교하면 분양가 상승폭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올 4월부터 민간 택지에 대한 분양가 상한제가 사실상 폐지되면서 분양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자칫 전세난에 시달려 내 집 장만에 나선 실수요자들이 과도한 분양가 인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는 15지난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주상복합 포함)3.3당 평균 분양가가 2019만원으로 조사돼 2013년 평균 분양가 1800만원보다 12.1% 올랐다고 밝혔다.

 


마포·서대문·종로구 등 7개 구()가 속한 '도심권'에 공급된 아파트 분양가(3.32430만원)1년 사이에 37.3%나 상승했다. 강남 4(서초·강남·송파·강동)2014년 평균 분양가는 전년보다 16.9% 오른 2478만원이었다.



특히 민간 아파트 분양가 상승폭이 더 가파른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주택보증이 조사한 올해 2월 서울 민간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는 2067만원으로 작년 2월 평균(1792만원)보다 15.3%나 올랐다.

 


문제는 앞으로 아파트 분양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4월 민간 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로 올해 공급되는 아파트 분양가는 확실히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사들도 앞으로 분양가격 추가 상승을 예상한다.
이승민

이승민

기자

헤드라인 뉴스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