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김주영의원
국부펀드 한국투자공사(KIC)의 직접운용 및 위탁운용 등 자산운용 전반에 걸친 우려가 심각한 수준이다. 투자를 금지한 위험 상품에 투자하거나 거래 정산금을 엉뚱한 계좌에 송금하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행위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주영 의원이 한국투자공사(KIC)의 최근 3년 치 자산운용 실태를 점검했다. 점검 결과 운용 담당자들이 기 공지된 투자가이드라인을 최소 수개월 동안 확인하지 않은 채 투자가 금지된 국가의 채권과 주식을 매입한 사례가 발견됐고, 만기가 초과한 상품 및 최저 신용등급에 미달하는 상대방과 거래를 체결한 일도 지적됐다.
아울러 기획재정부 및 한국은행의 초기 투자금을 서로 다르게 입력하거나, 정산금을 반대로 송금하는 등 눈을 씻고 봐도 선뜻 이해할 수 없는 사건도 존재했다.
한국투자공사는 정부와 한국은행, 공공기금 등으로부터 외화자산을 위탁받아 국부증대를 위해 설립된 국부펀드다. 기획재정부 산하 공기업이며 ‘20년 7월 기준 1,628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투자가이드라인 위반 내역>
발생시기 | 발생일 | 위반유형 | 위반자 | 투자금 출처 | 위반내용 |
2018 | 5/25 | 만기 초과 상품 매입 | 직접운용 |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 만기 초과 단기금융상품 (CD, 양도성 예금증서) 매입 |
6/7 | 투자불가능국가 채권 매입 | 위탁운용사 (MISM) | 기획재정부 | 투자불가능으로 분류된 우크라이나 채권 매입 | |
6/1 | 직접운용 | 기획재정부 | 투자불가능으로 분류된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 매입 | ||
8/15 | 위탁운용사 (Alliance Bernstein) | 한국은행 | 투자불가능으로 분류된 버뮤다 주택저당증권(MBS) 매입 | ||
2019 | 5/10 | 투자불가능 신용등급 거래 | 위탁운용사 (PIMCO) | 한국은행 | 투자불가능으로 분류된 최저 신용등급 미충족 거래 체결 |
6/10 | 투자불가능국가 채권 매입 | 위탁운용사 (JPM) | 한국은행 | 투자불가능으로 분류된 그리스 채권 매입 | |
6/14 | 위탁운용사 (MSIM) | 기획재정부 | 투자불가능으로 분류된 우크라이나 채권 매입 | ||
7/25 | 직접운용 | 기획재정부 | 투자불가능으로 분류된 오만 채권 매입 | ||
9/12 | 투자불가능국가 주식 매입 | 위탁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기획재정부 | 투자불가능으로 분류된 싱가폴 주식 매입 | |
2020 | 1/29 | 투자불가능 비상장주식 매입 | 위탁운용사 (Capital) |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 국제적 공신력 있는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주식 매입 |
2/6 | 투자불가능국가 주식 매입 | 위탁운용사 (BlackRock) | 한국은행 | 투자불가능으로 분류된 케이만제도 주식 매입 | |
- | 자산/현금 이관 | 위탁운용사 (Veritas) |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 기재부 ↔ 한국은행 초기 투자금 반대로 입력 | |
- | 위탁운용사 (MAN, JPM Securities) |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 기재부 ↔ 한국은행 펀드 정산금 반대로 송금 |
한국투자공사의 운용 담당자들은 투자 불가능으로 분류된 오만 등 투자불가능국가의 채권을 매입하거나, 만기 초과 상품을 매입하는 등 투자가이드라인을 위반하는 기초적인 실수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운용사의 경우에도 초기 투자금을 반대로 입력하는 등 터무니 없는 실수를 한 것이 밝혀졌다.
김주영 의원은 “직접운용하는 자산에서부터 위탁운용하는 자산까지 공지된 투자 가능국가에 대한 변경사항과 가이드라인을 숙지해 운용하는 것이 기본”이라면서 “이와 같은 투자가이드라인 위반이 반복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창명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