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 = 박영순의원실
10.8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을 의결했고, 같은 날 국토부도 조속히 행정절차를 마무리 짓고 10월 중으로 대전·충남을 혁신도시로 지정 고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제 관심은 추가 이전할 공공기관을 확정하고 이전 계획을 수립하는 등 정부가 후속절차를 얼마나 빠르게 진행할 것인가로 모아지고 있다.
혁신도시 시즌1은 ′03.6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지방이전 방침 발표에서부터 ′05.6월 국무회의에서 최종계획안을 심의·확정하기까지 2년이 걸렸고, ′07.9월부터 혁신도시별 부지조성 공사 착공, ′12년부터 공공기관별로 지방이전 개시, ′19.12월 말 이전을 완료하기까지 총 16년 6개월이 걸렸다.
시즌1에서 공공기관 지방이전 기본원칙은 ‘형평성’과 ‘효율성’ 두 가지 원칙에 따라 배치했음. 형평성 원칙에 따르면 대전·충남은 인재채용, 지역성장, 인구유출 등 15년 동안 역차별을 받아온 만큼, 우선 배려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지난 13일 문 대통령께서 「제2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에서 “혁신도시를 지역균형 뉴딜의 거점으로 발전시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한 것은 한국판 뉴딜에 지역정책을 연계한 지역균형 뉴딜을 추진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박영순 의원은 “대전이 혁신도시 지정이 늦었지만, 정부가 추진 기간을 충분히 단축 할 수 있다” 강조하고, “혁신도시가 지역균형 뉴딜의 거점 역할을 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불균형 해소에 기여하며, 코로나 위기 극복의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빠르게 후속절차를 진행할 것” 이라고 전했다.
윤창명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