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2020년 국내 수입된 가공식품 실적을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수입 식품은 과‧채가공품, 김치, 맥주 등 순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수입식품 정보마루 홈페이지 메인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과‧채가공품은 전년 27만 5424톤에서 2020년 2.1% 증가한 28만 1222톤으로 3위에서 1위로 올랐다. 이는 지난해 건강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타트 체리 및 석류, 당근 등을 원료로 한 과실·채소류 농축액 등의 수입이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수입김치는 전년까지 최근 3년간 연평균 5.5%씩 지속적으로 수입량이 늘었으나, 2020년에는 수입이 8.3% 감소한 28만 1021톤으로 전년도와 동일하게 2위를 차지했다. 수입김치는 중국에서 99.9%수입돼 음식점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데 코로나19로 인해 단체급식 및 외식이 감소하면서 김치 수입량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수입맥주는 전년 36만 2027톤으로 수입실적이 1위지만 2020년에는 22.8%가 감소해 3위로 내려갔는데, 이는 일본맥주 등 수입맥주 판매가 줄면서 수입이 줄었기 때문임과 동시에 국산맥주가 일본맥주 등 수입맥주를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소비자가 선택하는 주종의 다변화와 집에서 술을 즐기는 ‘홈 술’ 영향으로 와인 등 과실주 수입량이 전년 5만 3231톤에서 2020년 6만 9413톤으로 3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위 품목은 아니지만 커피의 수입량은 전년 2만 3845톤, 2020년 2만 4265톤으로 비슷한 수준인데도 국내 생산량은 수입량 보다 3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커피 소비가 늘어나면서 국내 생산 시 원료로 사용되는 ‘커피 원두’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한 것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커피 수입국으로는 브라질산 21.3%, 베트남산 19.6%, 콜롬비아산 18.2% 에티오피아 7.7%, 페루 5.6% 순으로 집계됐다.
식약처는 "수입식품의 다양한 동향 분석을 통해 수입 증가 품목은 검사를 강화하고 안전정보를 제공 한편, 국내외 위해정보에 신속 대응하는 등 안전 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수입식품 정보마루를 통해 수입식품 통관정보와 당해 연도 검사실적 잠정치를 제공하고 있다.
송덕성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