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는 이번달 4일부터 2주간 국민생각함을 통해 총 1946명을 대상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를 발표했다. ‘장기기증’과 관련한 국민생각함 의견수렴에서 응답자의 98%는 ‘뇌사 후 장기기증자’와 유가족에 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생존 시 장기 일부를 모르는 타인에게 기증하면 1년 간 건강검진 진료비를 지원하는 것에 대해 응답자의 93%는 지원기간을 더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나왔다.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국민권익위)는 이번달 4일부터 2주간 국민생각함을 통해 총 1946명을 대상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국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6%는 생전에 본인이 장기기증 희망을 등록하는 ‘장기기증 희망등록 제도’를 알고 있다고 답했다. 장기기증 희망등록 의향에 대해서는 71.8%가 ‘의향이 있다’고 답한 반면 28.2%는 ‘의향이 없다’고 나타났다.
‘등록의향 이유’에 대해 84.1%는 ‘타인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답했다. 반면, ‘희망등록을 꺼리는 이유’에 대해서는 ▲시신훼손에 대한 거부감 44.0% ▲장기기증에 대한 두려움 28.8% ▲가족 및 주변사람의 반대 11.6% 등 부담감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 시 타인에게 장기기증하면 1년간 건강검진 비용을 지원해주는데, 응답자의 93.6%는 지원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연장기간은 32.8%는 ‘5년 이상 지원’, 26.8%는 ‘평생지원’을 꼽았다.
‘생존 장기기증자 지원방안’으로 32.6%는 국공립의료원 무료건강검진을 들었고, 유급휴가 지원금확대 27.6%, 기증자 장애인등록인정 19.5% 등 제도적 지원확대도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뇌사후기증자 및 유가족 예우에 대해 응답자의 98.2%는 현행보다 강화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예우강화 방안으로 과반이상 52.5%이 ‘장례지원서비스’를 들었고, 24%는 추모공원설립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한편, 우리나라 뇌사장기기증자 수는 인구백만명당 8.7명으로, 스페인 48.9명, 미국 36.9명, 영국 24.9명 등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반면, ‘생존 시 장기기증’ 비율은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만 대부분가족이나 지인에 대한 기증이 많으며, 이로 인한 정신적‧신체적 후유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다.
국민권익위는 국민들의 의견수렴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및 기증자 및 유가족 예우 방안’에 대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장기기증 등록제도에 대해 많은 국민이 알고는 있지만, 동시에 부담감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장기기증제도가 잘 정착돼 생명 나눔 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성준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